논문 원고는 학회 홈페이지 온라인 투고 시스템이나 이메일을 통해 편집위원장이 접수하며 논문 접수마감일은 따로 정하지 않으나, 국제금융연구 발간을 위한 최종 편집회의 이전에 심사 완료된 논문은 당 호에 게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편집위원장은 편집위원회를 총괄하며 논문의 학회지 게재여부에 대한 최종결정권을 갖는다.
제출처: 한국국제금융학회 홈페이지 (www.kifa.ne.kr) 논문기고 혹은 편집위원장 메일 jahn@imf.org 로 제출한다.
투고 논문은 타 간행물에 게재되었거나, 투고일 현재 타 간행물에 게재 신청 중이 아니한 것에 한정한다. 논문 투고시 논문의 독창성, 잠재적인 이해관계의 상충, 개인정보의 활용에 동의하여야 하며 논문의 최종 게재가 확정되는 경우 저작권활용에 동의하여야 한다. 저작권활용은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양식을 다운받아 제출해야 한다.
투고논문은 한글 또는 영문으로 작성하며 아래한글을 원칙으로 한다.
본문은 줄간격 165%, 폰트크기 10.5로 작성되어야 한다. 모든 페이지에는 페이지 번호가 연속적으로 있어야 한다. 제목과 부제는 간결해야 한다.
논문의 처음 1페이지에 논문제목, 저자 성명, 요약을 포함하여 한글로 작성한다. 국문요약은 500자 내외가 되어야 한다. 논문을 대표할 수 있는 ‘핵심 단어’ 및 ‘경제학 문헌 목록 주제분류’를 요약 다음에 제시한다. 같은 페이지의 주석에 저자의 소속과 직위, 이메일을 표기한다. 소속이 없는 미성년자의 경우에는 최종 소속, 직위, 재학년도를 표기한다.
논문의 마지막 1페이지는 논문제목, 저자 성명, 요약(abstract)을 포함하여 영문으로 작성한다. 영문요약은 200 단어 내외가 되어야 하며, 논문을 대표할 수 있는 핵심단어(key words) 및 JEL Classification을 요약 다음에 제시한다. 같은 페이지의 주석에 저자의 소속 및 이메일을 표기한다.
논문의 요약은 논문 전체의 내용을 포괄함으로써 논문의 요약만을 통해서 논문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으로 작성되어야 하며 논문의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1) 본문에서 장․절․항 등의 구분은 다음의 번호체계를 사용한다. 예: I. 1. 1)
2) 수식의 경우에는 일련번호 (1),(2),(3).....으로 우측 끝에 표기하고, 표나 그림은 별도의 일련번호를 사용한다.
예: <표1>, <그림1>
3) 참고문헌의 배열순서는 한국문헌, 외국문헌의 순으로 한다. 저자이름을 기준으로 동양문헌은 가나다순으로, 서양문헌은 알파벳순으로 배열한다. 논문의 제목은 따옴표(“”) 안에 넣고, 저널이나 저서의 경우에 한국문헌은 낫표(「」) 안에,그리고 외국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논문이나 저널, 저서의 발간연도는 저자명 다음에 표기한다. 논문집의 논문 인 경우에는 논문의 페이지 번호를 맨 뒤에 쓴다.
예: 장호윤, 1996, “한국주식의 New York 증시 상장과 주식가격정보의 이전”, 「증권금융연구」, 제2권 1호, 105-131.
Cambell, J. Y. and Hamao, Y., 1992, “Predictable Stock Returns in Unites States and Japan: A Study of Long-term Capital Market Integration”, Journal of Finance, Vol. 47, 43-69.